. 알랭 드 보통 책
알랭 드 보통 하면 연애 소설로 유명합니다.
하지만 남자가 쓴 연애소설이다 보니
글이 감성적이기보다는 이성적이라고 할까요?
철학적 생각과 고전 철학을 인용해서 설명하는 내용도 부분 등장하니깐요..
물론 철학적 내용을 알면 읽는데 도움이 되지만,
모른다고 읽는 것에는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.
보통 여자분들이 알랭 드 보통의 소설을 좋아하는 분들도 많은데
책 차체가 조금 이성적이다 보니,
여자분들 중에서 알랭 드 보통 책을 어려워하는 분도 간혹 있더라고요
여하튼 알랭 드 보통의 책을 한번 접해보고
내 취향에 조금 맞다 싶은 생각이 든다면
다른 책도 읽어 보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.
그럼 알랭 드 보통 '불안'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.
사람은 왜 불안을 느낄까요?
불안은 느끼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.
다만 불안을 느끼는 정도가 서로 다른 것이고
이것을 극단적으로 가면 일상이 어려워지는데,
이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이죠
알랭 드 보통 불안의 차례는 이렇게 됩니다.
원인
1. 사랑의 결핍
2. 속물근성
3. 기대
4. 능력주의
5. 불확실성
해법
1. 철학
2. 예술
3. 정치
4. 기독교
5. 보헤미아
위에서 본 것과 같이
우리가 불안을 느끼는 이유를 하나하나 나열하였습니다.
사랑을 받고 싶어 하는 존재, 속물근성 등
. 과학이 말하는 불안
우리가 말하는 과학에서 말하는 불안이란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합니다.
즉 다른 동물에 비해서 힘도 약하고,
도망갈 수 있는 속도도 느리니,
생존을 위해서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은 공동체 을 만들어서 함께 합심해서 생존을 하는 것입니다.
그러기 때문에 공동체라는 구성을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의 비유를 맞추게 되고,
더 많은 종족을 번식을 위해,
더 좋은 유전자를 번식하기 위해서,
더 좋은 배우자를 선택하기 위해,
권력과 사랑을 갈구하게 됩니다.
. 종교가 말하는 불안
종교,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말하는 불안을 본다면,
원죄로 인한 불안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.
하느님이든 하나님이든 우리를 창조했고,
서로 사랑하라고 했는데
선악을 알게 하는 사과 (선악과)를 먹음으로 서로의 불신과 미움, 경쟁이라는 것을 통해 우리는 불안을 느끼는 것일 것입니다.
불교에서 말하는 불안은
범아일여 / 모든 세상과 인간은 하나이기 때문에 경쟁을 하면 안 된다.
즉 불안을 느끼는 이유는
우리는 하나가 아니라 다른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경쟁을 하게 되고 불안이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.
그리스도교/ 불교 사상이 말하는 불안의 해결책은
. 신을 믿는 것
. 내 이웃을 내 몸 같이 사랑하는 것
이 2개를 뽑을 수 있을 거 같고
불교에서 말하는 해결책은
. 해탈 일 것입니다.
. 알랭 드 보통 '불안'에서 해결책
1. 철학
철학을 하면서, 제삼자의 입장으로 나 자신을 바라보며, 해결책을 찾는다.
부정적 생각이 불안을 만드는데,
철학을 하면서 부정적 생각을 철학 쪽으로 방향을 틀어준다. 등
2. 예술
3. 정치
4. 기독교
5. 보헤미아
위 주제와 같이 해결책들을 설명해 주었습니다.
알랭 드 보통의 불안은 이 거시적(큰 그림) 관점을 통해서 원인을 찾았고
미시적(큰 그림을 세분화시켜) 관점을 통해서 해결책을 찾아주고 있습니다.
이 책은 우리가 왜 불안을 느끼는지 통찰력을 주고
이것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대안을 줌으로 불안에 대해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는 느낌이라 좋았습니다.
전 개인적으로 알랭 드 보통 불안을 너무 재밌게 읽었고 유익했습니다.
조금 어렵다면 어렵고,
책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, 그렇게 어렵지 않은 책이라 생각합니다.
알랭 드 보통 불안 추천드립니다.
'책소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헤르만 헤세 삶과 작품 (0) | 2020.04.16 |
---|---|
책 /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줄거리 결말 /느낌 (0) | 2020.04.14 |
채사장_ 우리는 언젠가 만난다. (0) | 2020.04.06 |
헤르만 헤세_ 소설 데미안 줄거리 의미 독후감 (1) | 2020.04.04 |
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0 / 내가 만든 채사장님의 역사 (0) | 2020.03.23 |